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송·변전 설비계획 확정…전력 공급 인프라 확충 > 고객상담실

본문 바로가기


귀하의 만족과 가치를
높여드립니다.
고객센터
  • 공지사항

  • 고객상담실

고객상담실
제목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송·변전 설비계획 확정…전력 공급 인프라 확충

작성자 dodo
작성일 25-05-29 18:56
조회 8회

본문

한국전력이 2050년까지 10GW급 전력이 요구되는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의 전력공급 설비계획을 수립하면서 사업이 순항할 것으로 보인다.

27일 한전과 용인시 등에 따르면 한전은 이날 열린 전기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제11차 장기 송·변전 설비계획을 확정했다.

올해 2월 발표된 제11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 따른 전력 수요와 발전 설비 전망을 토대로 2024∼2038년까지 15년간 적용되는 장기 송·변전설비 세부 계획에 해당한다.

이번 계획에는 반도체 등 국가 첨단전략산업의 전력 수요를 반영한 전력공급 인프라를 확충하는 내용이 담겼다. 용인남사더클러스터 이 중 약 622조원이 투입되는 반도체클러스터 지원이 눈에 띈다. 2047년까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민간 기업이 막대한 자본을 투입하는 경기 남부 일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에 힘을 보태는 것이다.


정부는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건설로 650조원 생산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인프라·투자 환경 조성, 반도체 생태계 강화, 초격차 기술 및 인재 확보 등에 나선 상태다.



용인 남사 더클러스터
한전은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에는 현재 수도권 전력 수요의 4분의 1에 달하는 10GW 이상 대규모 전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를 적기에 공급하기 위해 산단 내 변전소 신설, 기존 전력망을 연결하는 송전선로 건설 등 설비계획을 세웠다.

반도체클러스터 내 국가산단 안에 3GW 규모 신규 발전소를 건설하고 산단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변전소 및 송전선로를 추가하는 내용이다. 일반산단에도 전력공급을 위한 추가 변전소 및 송전선로 건설을 추진한다.



다만,용인 남사 더클러스터 모델하우스 기존에 추진 중인 하남시의 전력망 구축 사업의 준공 시기는 조정했다. 하남시에서 주민 반발 등을 이유로 인허가가 완료되지 않는 등 건설 지연 및 계통 여건 변경 사항이 생기자 준공 시기를 조율한 것이다.

상호 : (주)도시종합철강010-7448-6554.1004114.co.kr대표 : 양원규개인정보책임자 성명 : 양원규사업자번호 : 755-86-00026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조천우회로 175 (신촌리)전화번호 : 064)725-0043이메일 : df01114@naver.com
COPYRIGHT (주)도시종합철강. ALL RIGHT RESERVED. Designed by Freepik
제작사 : 홍련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