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이거때문에 난리 난데는데요??? |
---|---|
작성자 | 도도 |
작성일 | 24-08-09 18:01 |
조회 | 19회 |
관련링크
본문
총 공사비 3000억원의 경기 안산시 중앙주공6단지(이하 '안산주공6단지') 재건축사업이 시공사 선정 8개월째 도급계약을 체결하지 못해 난항을 겪고 있다. 지난해 12월 포스코이앤씨가 사업을 수주했지만 도급계약서 조건 변경을 놓고 시행사인 한국토지신탁과 대립하며 사업을 지체시키고 있다.
1986년 준공된 안산주공6단지는 지상 5층, 17개동, 590가구 규모의 아파트다. 재건축 시 지하 3층~최고 36층, 9개동 1017가구의 '더샵퍼스트원'으로 재탄생하게 된다. 기존 주민 수가 적어 재건축 사업의 수익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일반분양률이 42%에 달한다.
추정 공사비는 3000억원대로 포스코이앤씨는 대우건설과 수주 경쟁에서 시공권을 따냈다. 사업 진행에 엇박자가 나기 시작한 건 일부 주민 대표가 도급계약서상 조건 변경을 요청하면서다. 안산주공6단지 주민협의기구인 정비사업위원회는 최근 이 같은 문제로 논란 끝에 해체됐다. 시공사에 유리한 계약 내용을 요구했다는 의견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사업시행자 측에 ▲철거 지체상금 삭제 ▲준공에 임시사용승인 포함 ▲책임준공 삭제 ▲착공 이후 공사비 인상 가능 등 30여개 조항의 수정을 요구했다. 사업 시행을 맡은 한국토지신탁·무궁화신탁 컨소시엄은 향후 공사비 상승 요인을 초래해 주민들의 추가 분담금이 우려된다며 반대했다.
주민 5분의 1 이상이 발의 요청해 지난달 26일 토지 등 소유자 전체회의가 열렸고 정사위의 임원·위원 해임 안건이 가결됐다. 앞서 일부 정사위원들은 지난달 6일 감사 직권으로 전체회의를 열어 공사 도급계약서 변경에 대해 94% 이상 찬성표로 가결했다. 신탁사 계약해지 안건도 추진했다. 하지만 법원은 시행자 외 소집권 집행 불가(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위반)를 사유로 전체회의 결과가 무효라고 판단했다.
1986년 준공된 안산주공6단지는 지상 5층, 17개동, 590가구 규모의 아파트다. 재건축 시 지하 3층~최고 36층, 9개동 1017가구의 '더샵퍼스트원'으로 재탄생하게 된다. 기존 주민 수가 적어 재건축 사업의 수익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일반분양률이 42%에 달한다.
추정 공사비는 3000억원대로 포스코이앤씨는 대우건설과 수주 경쟁에서 시공권을 따냈다. 사업 진행에 엇박자가 나기 시작한 건 일부 주민 대표가 도급계약서상 조건 변경을 요청하면서다. 안산주공6단지 주민협의기구인 정비사업위원회는 최근 이 같은 문제로 논란 끝에 해체됐다. 시공사에 유리한 계약 내용을 요구했다는 의견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사업시행자 측에 ▲철거 지체상금 삭제 ▲준공에 임시사용승인 포함 ▲책임준공 삭제 ▲착공 이후 공사비 인상 가능 등 30여개 조항의 수정을 요구했다. 사업 시행을 맡은 한국토지신탁·무궁화신탁 컨소시엄은 향후 공사비 상승 요인을 초래해 주민들의 추가 분담금이 우려된다며 반대했다.
주민 5분의 1 이상이 발의 요청해 지난달 26일 토지 등 소유자 전체회의가 열렸고 정사위의 임원·위원 해임 안건이 가결됐다. 앞서 일부 정사위원들은 지난달 6일 감사 직권으로 전체회의를 열어 공사 도급계약서 변경에 대해 94% 이상 찬성표로 가결했다. 신탁사 계약해지 안건도 추진했다. 하지만 법원은 시행자 외 소집권 집행 불가(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위반)를 사유로 전체회의 결과가 무효라고 판단했다.